[React] React-Query로 데이터 통신 해보기
최근 면접을 준비하며, React-Query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었다. 그런데 마침 다음주에 면접 보는 기업에서 React-Query를 사용한다기에면접 준비도 할 겸, 공부도 할 겸, 과거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할 겸 사용해 보니 생각보다 아주 편리해서 한번 소개해 보고자 한다. 사실 그동안 React-Query가 서버 통신 라이브러리인 줄로만 알았는데, 공부해 보니 HTTP 통신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HTTP 통신을 통해 받아온 데이터를 캐싱하고 관리해 주는 라이브러리였다! 과거 진행했던 전기차 지도(CPM)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아주아주 기본적인 기능만 사용했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탐구는 공부를 더 하고 써보도록 하도록,.,.,.,.어쩌구,.,.1. 설치$ n..
[FE_Bootcamp] 35일차_React 데이터 흐름
블로그를 무려 8일만에 작성하게 되었다. 여러 원인들이 있었지만,.,.,..,,, 일단 지금 배우고 있는 웹 서버가 너무 어렵다,..,.,.,,, 할일 많음 + 수업시간 외 공부의 연타로 블로그를 쓸 여유가 없었다고 하자. 사실 내용이 좀 어렵다보니 의욕이 확 죽어버린 탓도 있긴 하다,..,,.,.흑 여튼, 이 지옥같은 웹 서버 단원도 슬슬 마무리가 되어가니, 복습 겸 블로그 작성을 재개해야겠다 1. 리액트 앱의 구조 리액트를 처음 배울 때,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다고 했다. 즉, 여러개의 컴포넌트를 만든 뒤 각 컴포넌트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컴포넌트는 하나의 기능만을 담당한다. 상암 보조경기장 예약 페이지를 예로 들어보자. 커..